top of page
4de787_a8d4ef5eb3714cf89517a09d307732e8~mv2.png

Get in touch with us

문의사항이 있으신가요?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주세요!

Tel: 010-6802-3488

Email: tuflyofficial@gmail.com

096fae0a-c0e9-436a-8389-bf28a126e8b8_edited.png

인하대학교 연구실 및 상도동 저택 근처에서 상담 진행 가능합니다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하로 100, 인하대학교 서호관 106호​

© 2024 by Tufly

[터플리 심리상담] 공부는 완벽한데 실전에서 망친다? 스포츠 심리학이 알려주는 실전 대비법



안녕하세요, 터플리 블로그 독자 여러분!

터플리 심리상담 대표이사/인하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김병준 입니다.


연습은 완벽했는데, 왜 실전에서 망칠까요?


시험을 앞두고 모든 걸 준비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시험장에서 머리가 하얘지고, 평소 실력이 나오지 않는 경험을 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연습 문제를 풀 때는 잘되는데, 시험장에만 가면 실수가 많아지고 긴장으로 인해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스포츠에서도 자주 나타납니다. 연습 때는 완벽하게 슛을 성공시키던 농구 선수가 경기장에서 결정적인 순간에 실수를 하거나, 연습 라운드에서는 최고의 성적을 내던 골퍼가 대회만 가면 미스샷을 연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스포츠 선수들은 ‘실전 감각’을 키우는 심리적 훈련을 합니다.


그렇다면, 시험에서도 스포츠 심리학의 기법을 활용하여 실전에서 제 실력을 100% 발휘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실전에서 무너지지 않는 방법을 스포츠 심리학의 관점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실전에서 성적이 안 나오는 이유

시험장에서 평소 실력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크게 심리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뉩니다.

1) 긴장과 불안이 실력을 방해하는 경우

시험이 중요한 만큼 부담이 커지면서, 과도한 긴장이 뇌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합니다. 특히, 시험 불안이 높은 학생일수록 기억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2) 실전 환경에서 익숙하지 않음

연습할 때는 편한 자리에서 조용히 공부하지만, 실제 시험장은 분위기가 다릅니다. 감독관이 지켜보고 있고, 주위에서 시험을 보는 다른 학생들의 필기 소리나 종이 넘기는 소리가 신경 쓰일 수도 있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환경은 긴장을 높이고 집중력을 떨어뜨립니다.

3) 연습과 실전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음

단순히 문제를 많이 푸는 것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스포츠 선수들도 연습과 실전 환경이 다르면 경기력이 저하됩니다. 예를 들어, 연습할 때는 편한 연습복을 입지만, 실전에서는 경기복을 입고 땀과 긴장 속에서 뛰어야 합니다. 시험도 마찬가지로, 실전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실전에서도 강해지는 스포츠 심리학적 대비법


1) 실전과 유사한 환경에서 연습하기

스포츠 선수들은 실전 감각을 익히기 위해 실제 경기 환경과 비슷한 조건에서 연습을 합니다. 예를 들어, 축구 선수들은 경기 전에 상대팀과 연습경기를 하며 실전 감각을 익힙니다. 시험을 준비할 때도 단순히 집에서 푸는 것이 아니라, 실전과 유사한 환경에서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전 감각을 익히는 방법

  • 시험 시간과 동일한 시간대에 모의고사 풀기

  •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문제를 풀어보며 집중력 기르기

  • 실제 시험장에서 사용할 필기구와 노트 등을 사용하여 연습하기

  • 책상이 불편하거나 조명이 어두운 환경에서도 공부해보기

2) ‘클러치 퍼포먼스’를 위한 심호흡과 루틴 활용하기

스포츠 선수들은 중요한 순간 긴장을 조절하기 위해 루틴(routine)을 활용합니다. 루틴이란 실전에서 심리적 안정을 주는 반복적인 행동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테니스 선수 나달은 서브를 넣기 전에 일정한 루틴을 거치며 멘탈을 조절합니다.

시험에서도 루틴을 활용하면 긴장을 줄이고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시험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루틴

  • 시험 시작 전에 10초 동안 깊은 심호흡을 하며 마음을 가라앉히기

  • 시험지를 받으면 바로 문제를 풀지 말고 10~20초 동안 문제 전체를 훑어보기

  • 평소에 사용하던 연습 노트나 펜을 활용하여 익숙한 환경 조성하기

3) ‘경기 시뮬레이션’처럼 시험 상황을 미리 연습하기

스포츠 선수들은 경기 전에 이미 경기에서 뛰고 있는 모습을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하며 실전 감각을 익힙니다. 연구에 따르면, 뇌는 실제 경험과 시뮬레이션을 거의 비슷하게 받아들입니다.

시험에서도 시험 보는 장면을 머릿속으로 떠올리면서 연습하면 긴장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시험 전 시뮬레이션 훈련 방법

  • 시험장에 앉아 있는 자신의 모습을 머릿속으로 생생하게 떠올려보기

  • 긴장되는 순간을 상상한 뒤, 차분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이미지 그리기

  • 예상 질문과 답변을 미리 생각하며 답변을 떠올리는 연습하기


4) 연습 때부터 ‘실전처럼’ 문제를 풀기

연습과 실전의 가장 큰 차이는 시간 압박입니다. 연습때는 편하게 문제를 풀지만, 실전에서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연습할 때부터 시간을 정해놓고 문제를 풀면서 ‘실전처럼’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전 대비 연습법

  • 실제 시험 시간을 맞춰 모의고사 풀기

  • 한 번 푼 문제라도 다시 풀 때는 시간 제한을 두고 풀기

  • 쉬운 문제부터 풀지 않고, 어려운 문제부터 풀어보는 연습도 해보기

5) 긍정적인 자기 대화로 자신감 높이기

시험장에서 “이번에도 망하면 어떡하지?” 같은 부정적인 생각이 떠오르면 실제로 수행력이 저하됩니다. 반대로, 자신에게 긍정적인 말을 걸어주면 자신감과 집중력이 향상됩니다.

📌 시험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긍정적 자기 대화 예시

  • “나는 충분히 준비했고, 할 수 있다.”

  • “조금 긴장되지만, 이 긴장이 나를 더 집중하게 만들 거야.”

  • “막히는 문제가 있어도 당황하지 않고, 차근차근 해결하면 된다.”


실전에서도 강해지는 연습을 하자!

연습할 때는 완벽한데 실전에서 실수를 반복한다면, 이는 단순한 공부 문제가 아니라 실전 대비가 부족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스포츠 선수들이 실전 감각을 익히기 위해 시뮬레이션과 루틴을 활용하듯이, 시험에서도 실전과 같은 환경에서 연습하고, 긴장을 조절하는 방법을 익히며, 긍정적인 자기 대화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제부터는 단순히 공부량만 늘리는 것이 아니라, 스포츠심리학 기반 멘탈전략을 활용해 실전에서도 강해지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터플리 심리 상담은 높은 긴장감의 실전에서 최고의 퍼포먼스를 발휘하는 스포츠 선수들의 멘탈 전략을 활용한 학생 여러분들을 위한 다양한 멘탈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터플리 대표/인하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김병준



Comments


bottom of page